법인 및 병원 등 사업장: donor@unicef.or.kr로 신청
설립이념
역사
활동 목표
활동 지역
후원 기금 사용처
후원자 참여
착한상품
자원봉사
개인이 후원
단체에서 후원
제4차 유니세프 아동친화도시 해외조사단 독일 방문 |
2018.12.03 | |
---|---|---|
|
||
1. 유니세프한국위원회(한국 유니세프)는 한국의 8개 아동친화도시 단체장과 함께 독일의 아동친화도시를 방문하여 독일의 선진사례를 경험하고, 유니세프독일위원회(독일 유니세프)와 아동친화도시 정책에 대해 심도 있는 의견을 교환한 후 11.25-12.1간 일정을 마치고 귀국하였다고 밝혔다.
2. 유니세프 아동친화도시들의 이번 독일 방문은 4번째 해외 방문이다. 한국 유니세프는 아동친화도시로 인증 받은 우리 지자체들이 외국의 선진 제도를 직접 눈으로 보고 벤치마킹할 수 있도록 2015년부터 유니세프 아동친화도시 해외방문을 매년 주관해 왔으며, 그간 프랑스, 스위스 등을 방문한 바 있다.
○ 금년 해외 방문 조사 대상 국가로 독일을 선정한 이유에 대해 한국 유니세프측은 독일이 세계적으로 모범적인 아동친화정책을 추진하고 있다고 널리 인정받고 있기 때문이며, 독일 내에서도 특별히 두각을 나타내는 도시들을 방문했다고 밝혔다.
3. 제4차 유니세프 아동친화도시 조사단은 독일의 쾰른, 도마겐, 젠프텐베르크 등 5개 도시의 시장 및 아동 담당 공무원을 면담하고 베를린 아동청소년센터(Berlin FEZ) 등 9개의 아동 관련 시설을 직접 방문하여 독일의 아동친화도시 추진 정책을 청취하고 우리나라 지자체에서 접목할 수 있는 제도와 시설을 타진하였다.
○ 안드레아스 볼터 쾰른 시장은 ▲650여 개의 공공놀이터를 건설하고 대형마트 옥상에 탁아소를 마련하는 등 주민밀착형 정책을 추진해 왔고 ▲아동관련 정책을 어린이들이 직접 정하도록 하는 것을 아동정책의 기본으로 삼고 있으며 ▲이러한 적극적인 아동친화정책 시행으로 쾰른시에 인구가 유입되고 쾰른시의 출산율이 높아지고 있다고(합계출산율 1.8) 하면서 아동친화도시 제도는 아동권리 증진뿐 아니라 인구문제 해결에도 도움을 주고 있다고 소개하였다.
4. 또한 유니세프 아동친화도시 조사단은 독일에서 아동친화도시 정책을 총괄하는 독일 유니세프를 방문하여 독일의 아동친화도시 제도에 대한 설명을 들었는데, 크리스찬 슈나이더 독일 유니세프 사무총장은 독일 아동친화도시 정책의 4대 목표로서 정치인의 관점 변화, 행정부의 이해 제고, 일반시민에게 아동권리 알리기, 아동 역랑 강화라고 소개했다.
5. 이기철 유니세프한국위원회 사무총장은 “이번 독일 방문에서 많은 교훈을 얻었지만 가장 인상적이었던 것은 어린이 의회였다. 독일에서는 어린이들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정책뿐 아니라 조금이라도 어린이와 관계 있는 정책을 결정할 때에도 어린이 의회를 통해 어린이들의 의견을 청취하 하고 있다.”고 소개하면서 “한국에서도 어린이 의회 등 아동의 참여를 촉진하는 방안을 적극 추진하기로 아동친화도시 단체장들과 의견을 모았다.”고 밝혔다.
6. 이동진 지방정부협의회장(도봉구청장)은 “어린이들이 행복한 도시를 만들자는 아동친화도시가 전국적으로 확산되면 우리나라의 국가적 과제인 저출산 문제 해결에 크게 기여할 수 있으므로 지자체가 아동친화도시를 추진함에 있어 중앙정부는 적극적인 지원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7. 유니세프 아동친화도시 조사단의 실무를 총괄했던 성종은 유니세프 아동권리국장은 “이번 조사단에 참석한 지자체 관계자들은 독일의 사례를 경험하면서 아동친화도시를 추진하는 데 더욱 깊은 이해와 열정을 갖게 된 것으로 보였다. 방문기관 당 2-3시간의 면담시간이 부족할 정도로 높은 관심을 표시했다”고 밝혔다.
8. 유니세프는 유엔아동권리협약의 기본정신에 따라 모든 아동이 살기 좋은 도시를 만들기 위해 전세계적으로 유니세프 아동친화도시 이니셔티브를 추진하고 있다. 유니세프한국위원회는 아동친화도시가 되기를 희망하는 지자체의 신청을 받으면, 유니세프 본부의 아동친화도시 기준을 충족하는지를 아동권리 전문가로 구성된 중립적인 심사위원회에서 심의하도록 하여 그 결과에 따라 아동친화도시로 인증하고 유니세프 본부에 보고한다. ○ 2018년 12월 3일 현재 31개의 지자체가 유니세프한국위원회로부터 아동친화도시로 인증을 받았으며 30개의 지자체가 인증 신청을 준비하고 있다.
[사진1] 한국 유니세프 사무총장 및 8개 지자체 단체장 및 공무원 38명으로 구성된 독일 아동친화도시 선진사례 방문조사단 [사진2] 도마겐시장(좌)과 악수하는 이기철 유니세프한국위원회 사무총장(우) |
다음글 | 유니세프한국위원회, ‘아동친화적인 사법체계 구축을 위한 심포지엄’ 개최 | 2018.12.07 |
이전글 | “우리는 성적으로만 평가받는 존재가 아닙니다” | 2018.1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