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인 및 병원 등 사업장: donor@unicef.or.kr로 신청
설립이념
역사
활동 목표
후원 기금 사용처
후원자 참여
착한상품
자원봉사
개인이 후원
단체에서 후원
[소년병 반대의 날] 저는 군인이 아닌 어린이입니다 |
2020.02.11 |
---|---|
|
|
2월 12일은 소년병 반대의 날(Red Hand Day or International Day against the Use of Child Soldiers)입니다.
소년병에 대해 들어보셨나요? '파리 원칙*: 무력·무장단체와 관련된 어린이(Paris principles: A child associated with an armed force or armed group)'에 따르면, 무력·무장단체에 징집되거나 투입된 18세 미만의 어린이 또는 적대 행위에 직접 참여하는 것 외에도 요리사, 우편병, 전달자, 스파이 또는 성적인 목적으로 학대받는 어린이를 소년병이라고 합니다.
*파리 원칙(Paris Principles): 국가인권기구의 지위에 관한 원칙. 일명 '파리 원칙'으로 알려진 이 원칙은 파리에서 열린 제 1차 국가인권기구 국제 워크숍에서 제정되고 1993년 유엔 총회에서 채택됨
무장단체에 납치됐던 마크 이야기
어린 소년병은 음식을 제대로 먹지 못해 죽기도 합니다. 무장단체는 소년병들에게 시체를 땅에 묻으라고도 지시했습니다. 이 모든 일이 마크에게도 일어날 수 있는 일이기에 마크는 항상 두려움에 떨어야 했습니다.
무장단체에서 성공적으로 자유를 얻는 소년병들도 있지만, 최근 내전의 증가는 더 많은 어린이가 소년병으로 징집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남수단 소년병에 관한 5가지 사실 2. 남수단 서부 적도 지역에서 석방된 소년병 28%가 15세 미만 어린이입니다. 3. 모든 소년병이 무기를 가지고 다니는 것은 아니며, 일부는 청소, 운반, 요리 및 경비를 하기도 합니다. 4. 무장단체들이 징집한 여자 어린이들은 성폭력과 성 기반 폭력(Gender-Based Violence)을 당하기도 합니다. 5. 가해자의 미신고, 출생신고 제도 미비로 연령 확인이 어려워 남수단의 소년병 수를 정확히 알 수 없습니다.
다시 일상으로 돌아오는 과정 - 유니세프 지원 프로그램 ![]()
유니세프는 풀려난 어린이들에게 교육의 기회와 생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재통합 프로그램을 지원합니다.
어린이가 무장단체에서 풀려나면 3년간의 재통합 프로그램이 시작됩니다.
유니세프의 소년병 징병 근절 프로그램은 중대한 아동 권리 위반을 문제삼고, 법과 제도 측면에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또한 소년병과 어린이 대상 폭력이 일반화되는 것을 막고자 합니다. 이 프로그램은 국제법에 대한 존중과 책임을 보장하며, 불이익을 지속적으로 해소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남수단 정부는 유엔아동권리협약(The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CRC), 파리 원칙(Paris Principles) 등 법적 체계에 서명하고 비준함으로써 분쟁 중 어린이를 징병하지 않기로 약속했습니다.
유니세프가 소년병 어린이를 위해 한 10가지 사실
|
다음글 | [금주의 사진] 쉽게 예방할 수 있는 폐렴 | 2020.02.13 |
이전글 | 유챔프와 함께, 나의 성장과정 속 아동권리를 알아보는 시간 U-grow up! | 2020.02.06 |